[ZB] UX•UI/아티클 리뷰

9. 아티클 리뷰|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 |

Hyein_EX 2025. 3. 16. 23:29

 

 

3편.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 (1)

UX 디자인 입문 | 지난 글에서 잠깐 소개된 더블 다이아몬드는 서비스 디자인에서 사용하기 시작된 방법론입니다. UX에서는 굉장히 많은 방법론들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방법론들은 글로 설명을

brunch.co.kr

 

 1  아티클 요약 

| 더블 다이아몬드

  • 서비스 디자인 대표적인 방법론
  • 1다이아 = (생각의 확산 - 수렴) = (정의 - 해석 - 아디이어 - 해결)
  • 4단계 구성
    • Diverging (사고의 확산)
    • Why?
    • Converging(사고의 수렴)
    • Diverging (사고의 확산)
    • How?
    • Converging(사고의 수렴)

주요 내용:

  1. Diverging 단계 (사고의 확산)
    • 문제점 도출을 위한 생각&확산 과정
      • 정량적조사: 테이터 기반
        • 사용자설문 : 설문지 작성
          - 특징: 정보 습득 용이
          - 명확하고 도움되는 질문
        • A/B 테스트
          - 특징:  프토토 타이핑 or 간단한 디자인 결과물 용이
        • 아이트래킹
          - 특징:  시선 우선 도달, 시선 순서
          - 비용 부담
      • 정성적 조사: 사용자 경험 및 구매 기반
        • 인터뷰 : 사전 질문지를 통한 1대1 인터뷰
        • 현장조사 :구매환경 촬영
        • 카드소팅 : 정보구조 제작 및 분류 - 의견정리 구조화
  2. Define 단계 (사고의 확산)
    1. 자료로 나온 문제점를 정의하고 시각화하는 단계
    2. 활용: 페르소나, 고객여정맵, 이해관계자맵, affinity diagram
      1. 페르소나
        서비스 가상의 대표 인물
페르소나 이해하기

| 페르소나 대표적인 제작과정
사용자 찾기 → 가설 구축 → 사용자 분류 → 패턴 찾기 → 페르소나 구축 → 상황 정의 →검증 및 확인 →결과 제공 → 시나리오 작성 → 개발

| 구성
프로필, 성격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 페르소나에 영향을 주는 요소, 페르소나의 평소 사고 방식, 제품 전문성과 숙련도,
최종 목적과 목표, 디바이스 및 플랫폼 현황, 사용 카테고리 이용의 행태, 기대하는 점과 원하지 않는 점, 브랜드 호감도 및 인지상태

 

 

  • 고객 여정 맵 (Customer journey Map)
    • 사용자의 경험을 시간 or 행동의 흐름에 따라 정리한 것.
    • 이점: 사용자 시선에서 기존 제공 서비스 가능성 파악 가능. 수정&문제 시야 확보.
    • 과정:
      1. 고객 유형 이해하기

      2. 초기 가설 설정하기
      :기본 조사 정보:  사용자 들의 사용 순서, 요구 사항, 서비스의 강점 등..

      3. 고객 요구사항 및 인식 조사하기
      : 조사설문을 기반으로 설정 및 가설등 보완 수정함.
       주의 - 공감기법이 포함된 방법을 사용해야 함.

      4. 고객 조사하기
      : 진행 결과로 명확한 인사이트와 솔루션, 페르소나를 완성하는 단계
       주의- 논리적인 납득과 이해.

      5. 고객 여정 맵 완성
      :
      목표: 각 단계를 종합하여 최종 결과물에 사용자와 서비스 간의 상호작용 표현
      • 사용자의 행동, 요구사항, 서비스 인식을 포함
      • 터치 포인트에서 행동 묘사 및 요구사항, 솔루션 구체성 강조
      • 한 장으로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능력 중요

 2  느낀점

  • 백견불여일각(백번 스스로 꺠닫는 것이 그 깨달음을 실제 행동으로 한 번 옮겨 보는 것만 못하다. )
    ... 이론으로 익히는 것보다 직접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공감하며 읽었어요!
  • 더블 다이아몬드를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가 구조적으로 잘 나누어져 있어 각 단계에서 명확하게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습니다. 문제를 넓게 보고 좁혀가며 해결책을 찾는 방식이 효율적이라, 사용자의 요구를 정확히 반영한 결과물을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각 단계에서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제대로 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는 점도 느꼈습니다.

 3  정리하기

더블 다이아몬드는 문제를 확장하고 좁혀가며, 사용자 중심의 해결책을 도출하는 디자인 프로세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