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B] UX•UI/아티클 리뷰

12 | 아티클 리뷰 | 그리드와 레이아웃 분석방법

Hyein_EX 2025. 4. 3. 17:10

*오늘의 아티클

https://brunch.co.kr/@clay1987/136

 

UI 스터디 : 그리드와 레이아웃 분석방법

그리드의 최소단위를 분석하고, 시각물의 단위를 측정해보자 | 오늘은 그리드와 레이아웃 분석에 대해 좀 더 깊이 파고들어가보기로 하자. 1.  그리드라는건 대체 뭐고2.  그건 왜 만들어졌고.3.

brunch.co.kr

 

 

 1  아티클 요약 

 

1. 그리드란 무엇인가 – 보이지 않는 설계의 뼈대

  • 그리드는 디자이너가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열할 때 사용하는 기초 설계도 같은 것.
  • 일정한 단위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콘텐츠의 배치, 간격, 비례 등을 조정하여 시각적 안정감을 준다.
  • 잘 짜인 그리드는 사용자의 시선 흐름을 유도하고, 콘텐츠 간의 위계 질서를 부여한다.

2. 왜 그리드 단위 분석이 중요한가 – 디자인의 논리를 찾는 과정

  • 단순히 예쁘게 보이기 위한 디자인이 아니라, ‘왜 이런 배치인가?’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찾기 위해 필요함.
  • 다양한 콘텐츠(포스터, 웹, 인쇄물 등)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비율과 단위를 분석하면, 특정 콘텐츠가 주는 인상과 메시지를 해석할 수 있음.
  • 이는 디자이너에게 기획 단계에서 큰 도움이 되며, 나아가 타인의 디자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로도 이어짐.

3. 그리드 분석 방법 – 직접 측정하고 그려보기

  • 이미지를 불러와 일정 비율로 나누는 눈금자 선 작업이 핵심.
  • 포스터 속 텍스트 박스, 이미지, 여백 등의 위치를 수치화하여, 숨겨진 규칙이나 비례를 찾아냄.
  • 반복되는 모듈이 있다면 그것이 의도된 것인지, 혹은 단순히 감각적으로 배열된 것인지도 파악 가능.

4. 분석을 통해 얻게 되는 것 – 관찰력과 기획력

  • 단순 감상에서 벗어나, ‘설계자의 의도’를 읽어내는 눈을 갖게 됨.
  • 이 과정을 거치면, 나중에 본인의 디자인에서도 더 정교한 기준과 퀄리티 기준을 적용할 수 있음.
  • 더불어 콘텐츠를 ‘잘 배치한다’는 개념에서 나아가, 어떤 의미로 전달하고 싶은지를 고민하는 단계로 확장된다.

5. 디자이너로서의 태도 – 보이는 것 너머를 해석하라

  • 관찰은 단순한 흉내가 아닌,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이어야 한다.
  • “이 디자인이 예쁘다”가 아니라, “왜 이 디자인은 예쁘게 느껴지는가”를 파악해야 함.
  • 디자인의 결과물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설계 사고과정까지 이해하려는 태도가 진짜 디자이너의 시작임.

 2  느낀점

디자인은 감각만으로 하는 게 아니라, 숨겨진 논리와 구조를 읽어내는 관찰에서 시작된다는 걸 느꼈다.

그리드 분석을 통해 보이지 않는 설계자의 의도를 해석하는 연습이 기획력까지 확장된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앞으로는 디자인을 볼 때 ‘왜 저렇게 만들었을까?’를 질문하며 더 깊이 있게 바라볼 수 있을 거 같다.


 3  정리하기

🧱 그리드(Grid)

  • 시각적 질서를 만드는 기본 틀
  • 배치, 간격, 비례를 정렬하는 구조
  • 콘텐츠 간 위계 정리

🧐 관찰과 분석

  • 디자인을 ‘왜 그렇게 구성했는가’ 관찰
  • 반복 단위, 비례 분석 → 설계 의도 파악
  • 눈에 보이지 않는 기준을 읽어냄

🧮 수치화

  • 이미지에 눈금자 선 적용
  • 여백, 텍스트, 이미지 등 모든 요소의 위치/크기 분석
  • 숨겨진 규칙 발견

💡 기획력 강화

  • 디자인의 감각을 논리로 전환
  • 분석 → 기획 → 설계 능력으로 확장
  • 콘텐츠의 ‘의미 전달’ 고민으로 연결됨

🎯 디자이너의 태도

  • 단순 모방이 아닌 본질 이해
  • ‘예쁨’의 이유를 찾아내는 해석력
  • 결과보다 과정과 사고 체계에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