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플 소개 및 선정 이유
올인원 뷰티 플랫폼인 지그재그. 패션과 뷰티 계열에 관심있는 대한민국 여성을 주타깃으로 하는 쇼핑 어플이다.
현재는 9,000개 이상의 스토어와 연동되어 다양한 패션 아이템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스타일과 취향을 분석하여 맞춤형 상품을 추천하며, 장바구니 통합 기능으로 여러 쇼핑몰의 상품을 한 번에 결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직관적인 UI와 트렌디한 상품 큐레이션으로 편리하고 즐거운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
처음 분석하는 것이니 만큼!
-
어플 선정 기준을 세워보았다.
*선정 기준
1. 분석하기에 도움이 될 만한 어플인가? (첫 분석안인 만큼 개선점을 찾기 보다 구조와 기능이 잘 구성돼있는 어플을 분석하며 UX 관점 키우기.)
2. 관심이 가는 분야인가? (관심이 있는 분야일 수록 서비스의 이해도와 습득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
3. 평소에도 자주 쓰는 어플인가? (실제 사용자의 관점으로 깊이있는 경험 추출.)
.
.
.
1. 한국 패션 플랫폼 인기 어플리케이션
2. 현 관심가는 산업 분야: E-커머스(쇼핑, 배달)/ 교육/ 뷰티 패션/ 엔터테인먼트(게임, 스트리밍, 음악), 여행 및 관광, 친환경 ...
3. 오늘 사용한 어플!
2. Analyze
1) 고객 분석(customer)
https://newneek.co/@trendlite/article/11150 https://www.mk.co.kr/news/business/11068337 위의 아티클, 뉴스자료 참고하였습니다. |
* 용어 정리
- MAU: 서비스 이용자의 수. (한 달 1번 이상) / M - Monthly , D - Day
- 빅블러 현상: 구분되던 산업, 브랜드 간의 경계가 흐려져, 서로간의 경합이 심화되는 현상
충성도 높은
진성 고객 81%
2024 상반기 기준 DAU(일 활성 사용자 수) 10명 중 8명 이상은 구매 이력이 있는 고객.
그만큼 방문자는어플 유입 시 구매하기까지의 연결력이 좋다고 볼 수 있었다.
주 고객층은
20대
2024 상반기 기준 연령대별 앱 사용자 구성을 보니 절반이 20대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물론 구매력 관점에서는 유리하게 볼 수도 있지만, 미래의 고객이 될 10대 고객층을 놓치면서 향후 메인 고객층이 흔들릴 수 있다는 위험 또한 있다.
그런 의미에서 10대 고객층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한 요소를 고려하면서 현재의 구매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사용자 경험
무엇을 중요시 할까?
요즘엔 커머스 계열 어플에서도 패션을 다루면서 경쟁이 심화되었다. (빅블러 현상)
그럼에도 지그재그는 어떠한 사용자 경험을 우선시 하는 지, 타사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찾아보았다.
- 지그재그 - 배송 속도, 브랜드 다양성, 결제 편리성, 상품리뷰 개수
- 무신사 - 상품리뷰 개수, 품질
- 에이블리 - 가격&혜택, 배송 속도, 결제 편리성
- 크림- 상품 검수&독점브랜드, 상품 품질
- 29CM - 취향 맞춤 상품
(참고자료: 오픈서베이 MZ세대 패션 앱 트렌드 리포트 2024)
빠른 배송 서비스 이용자들의 인지도, 이용경험률이 타 앱/서비스 대비 압도적으로 높은 지그재그임을 확인
지그재그의 강점인 배송 속도, 브랜드 다양성, 결제 편리성을 중점으로 UI를 살펴보자.
3. 서비스 구조
서비스 구조를 보면 크게 홈, 스토어, 카테고리, 찜, 마이페이지 나뉘는데
스토어가 다음으로 구성 돼있는 것을 보아
위의 브랜드 다양성을 잘 보여준 UI를 스토어 화면에서 확인을 받지 않았나 싶다.
홈에 들어가면 뷰티페스타, 트렌드, 랭킹, 브랜드, 뷰티, 라이프로 탭이 먼저 보이며
아래에는 구매력을 이끄는 할인 혜택과 직전 배송 내용도 볼 수 있었다.
* 직진 배송
직진배송에서도 구매 할인 이벤트를 구성으로 하여 자연스럽게 클릭을 하고 구매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아래 검색의 편의성이나 카테고리를 나눠둠. 그리고 애용하는 스토어를 따로 모아두어 사용자의 경험을 고심해서 편의성과 직관적인 사용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더 느끼게 되었다.
4. 느낀점
이번 지그재그 어플을 분석해보면서 논리적인 디자인에 대해 한 번 다시 상기하고 깨달음을 얻게되는 시간임을 알게 되었다.
첫 분석인지라.. 자료를 찾아보고 다른 REF를 참고하였는데도 많이 부족함을 느끼면서 더 분발해야겠다는 마음가짐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래도 이렇게 UX/UI를 이해하고 깨달을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어 유익하고 감사한 기회였다.
다음엔 더 직관적이고 풍부한 내용으로 가져와보겠다!!
'[ZB] UX•UI > 레퍼런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se study: 6 카카오톡 (0) | 2025.02.27 |
---|---|
Case study: 5 넷플릭스 (1) | 2025.02.23 |
Case study: 4 컬리 (2) | 2025.02.22 |
Case study: ③ 배달의민족 (2) | 2025.02.01 |
Case study: ② 유튜브 뮤직 (3) | 2025.01.23 |